-
이당류 탄수화물인 설탕(Sucrose)은 사탕수수의 정제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진 정제당입니다.
그렇다면, 반면에 비정제당은 정제를 하지 않았으니 건강에 유익한 것인가? 또는 유기농 설탕 or 유기농 원당 제품은 또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오늘은 정제당 vs 비정제당의 구분과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당밀이라는 것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당밀을 이해한다면 시판되는 설탕류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비정제당 / 정제당의 구분
비정제당 함밀당 마스코바도, 라파두라, 흑당 등 분밀당 터비나도, 데메라라, 원당 등 정제당 백설탕, 황설탕, 흑설탕 ☞ 이전글 확인 : 탄수화물의 종류(포도당, 설탕, 과당, 유당 등)
사탕수수나 사탕무 등의 정제과정을 통해서 이당류 탄수화물인 설탕(포도당 + 과당)이 만들어지며, 이때 남는 끈적한 액체를 당밀이라고 합니다.
당밀은
끈적이고 캐러멜 향이 나고 단맛과 신맛을 포함하고 있으며, 당밀에는 비타민, 무기질, 미네랄, 단백질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밀을 어느 정도 제거 했느냐에 따라서 정제당과 비정제당으로 구분한다고 보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비정제 함밀당(당밀을 함유한 당)은
사탕수수 등을 원심분리 등의 방식으로 정제하지 않아서 또는 아주 가볍게만 원심분리하여 당밀을 대부분 함유하고 있는 갈색 또는 황갈색의 당입니다. 마스코바도 또는 흑당(우리가 흔히 아는 흑설탕 아님) 등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한때 유행했던 흑당라테 또는 버블티에 사용한 흑당이 아마도 이 함밀당에 해당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비정제 분밀당(당밀은 어느 정도 분리한 당)은
함밀당에 비해서 원심분리 과정을 좀 더 거친 것으로 터비나도, 데메라라, 원당 등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형마트나 온라인상에서 '원당'으로 판매되는 대부분의 제품이 대부분 비정제 분밀당에 해당하는 원당입니다.
정제당은
사탕수수의 정제과정을 통해 함밀당이 함유한 당밀을 거의 완전히 제거한 순수 설탕(Sucrose) 입니다.
백설탕, 황설탕, 흑설탕으로 구분되는데, 정제한 백설탕에 약간의 당밀과 캐러멜 성분을 추가해서 만든 것이 황설탕, 흑설탕입니다.
한 가지 궁금점이 생기는 것이 모두 정제당인데 굳이 백설탕, 황설탕, 흑설탕으로 만들어야 하는가 인데요. 이유는 맛 때문이라고 합니다. 충분히 이해가 되는 항목입니다.
다양한 OO청을 만들 때는 황설탕이 좋고, 호떡류 등의 빵에는 흑설탕이 풍미를 더하기 때문입니다.
비용적인 측면에서 보면 비정제 함밀당이 당밀을 제거하지 않고 여러 번의 끓임과 식힘을 반복하기 때문에 분밀당이나 정제당에 비해서 상당히 비싼 편입니다.
영양학적 판단
비정제 당이나 정제당이나 그 기본은 이당류 탄수화물인 설탕(Sucrose)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정제당인 황설탕이나 흑설탕이 백설탕보다는 몸에 좋다고 인식하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고, 비정제당(함밀당, 분밀당)은 다양한 영양분을 당밀에 함유하고 있으니 조금 많이 먹어도 괜찮을 것이라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비록 비정제당(함밀당, 분밀당)이 다양한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으나 정제당에 비해 단맛이 크지 않아 결국 식품에 첨가 시 다량을 사용하게 된다면 결국 비정제당에도 다량 함유되어 있는 설탕을 섭취하게 되니 비정제당을 사용하는 의미가 크게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또 유기농 설탕에 대한 의견도 분분한데요. 유기농 함밀당(비정제당)이라면 조금 고민해 보고 구매할 가치가 있다고 저는 생각하지만,
유기농 사탕수수를 사용했다 할지라도 정제하는 과정에서 모든 당밀이 다 빠지고 결국은 순수한 설탕만 남 것이기 때문에, 유기농 황설탕(정제당), 유기농 흑설탕(정제당)이라면 굳이 구매해야 할까?라는 생각을 할 것 같습니다.
유명 쇼핑몰 등에서 이제는 '설탕' '원당'이라는 키워드에 추가해서 이제부터는 '함밀당' '분밀당' 또는 '마스코바도' '터비나도'로 검색해 보신다면 조금 더 설탕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신 겁니다.
건강 일기
탄수화물은 가공되지 않은 통곡물, 과일, 야채를 통해서 섭취할 때 가장 건강에 유익합니다.
"정제"라는 단어는 열을 가했고, 분말화 했으며, 화학적 처리과정을 거쳤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제된 음식은 천연 그대로의 음식에 비해 인체에서 당(탄수화물)의 흡수율을 급격히 상승시켜 각종 합병증(당뇨병 등)과 비만의 주범이 되는 것입니다.
인간이 초식동물처럼 소장이 긴 이유는 채소과일을 많이 먹는 과정으로 오랜 시간 진화해서라고 합니다. 소나 말, 코끼리 등의 초식동물이 풀만 먹고도 엄청난 근육량을 보이는 것이 이상한 게 아닌 겁니다.
탄수화물은 잘못한 게 없습니다. 너무 미워하지 마시고 기본으로 돌아가서 올바르게 섭취하는 방법을 하나씩 실천한다면 오늘 보다 건강한 내일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함께 보면 유익한 글
[건강일기] - 포화 지방 vs 불포화 지방, 먹어도 잘 못 느끼는데..
포화 지방 vs 불포화 지방, 먹어도 잘 못느끼는데..
'포화 지방은 좋지 않고 불포화 지방은 건강에 비교적 유익하다!' 비슷한 말들을 쇼핑몰, 인터넷, TV, 각종 SNS에서 너무 많이 언급하기에 저도 궁금해서 글을 써 봅니다. 마가린을 바른 토스트나
fabaceaepater.tistory.com
[건강일기] - 탄수화물 종류, 중독 없는 다이어트 상식 5가지
탄수화물 종류, 중독 없는 다이어트 상식 5가지
탄수화물 종류를 정확히 이해하고, 탄수화물을 충분히 섭취하면서도 중독 없이 꾸준한 체중감량을 할 수 있는 다이어트 상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탄수화물은 인체 활동의 가장 중요한
fabaceaepater.tistory.com
'건강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식단, 건강한 다이어트 & 간헐적 단식! 내가 경험한 노하우 (0) 2023.08.18 오메가3 지방산 효능, 알티지(rTG) 오메가3, 구매전 확인사항 3가지 (0) 2023.08.17 엠폭스(원숭이두창) 감염경로, 증상 및 치료, 예방대책 알아보기 (0) 2023.08.13 포화 지방 vs 불포화 지방, 먹어도 잘 못느끼는데.. (0) 2023.08.12 풍수해 감염병이란, 종류 및 예방수칙 알아보기 (0) 2023.08.11